디지털공부방 일취월장

추천 유튜브 채널

금주의사자성어

畫龍點睛

(화룡점정)

  • 畫 (그릴 )
  • 龍 (용 )
  • 點 (점 )
  • 睛 (눈동자 )

용을 그리고 마지막에 눈동자를 찍다.

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하여 완성도를 높임.

知足不辱

(지족불욕)

  • 知 (알 )
  • 足 (족할 )
  • 不 (아닐 )
  • 辱 (욕될 )

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는다.

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모욕을 당하지 않음.

背水之陣

(배수지진)

  • 背 (등질 )
  • 水 (물 )
  • 之 (갈 )
  • 陣 (진칠 )

물을 등지고 진을 치다.

목숨을 걸고 후퇴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임함.

금주의 사자성어

  • 그릴
  • 눈동자

용을 그리고 마지막에 눈동자를 찍다.

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하여 완성도를 높임.

유래

옛날 중국의 명장 장의가 한 번 용을 그린 후, 마지막으로 용의 눈동자를 그려넣어 완성도를 높였다는 일화에서 유래하였다. 이 일화에서 유래한 '화룡점정'은 한 번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, 마지막에 중요한 부분을 더하여 그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을 비유한 것이다. 또한 중요한 일을 할 때, 마지막 마무리로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교훈을 준다.

  • 족할
  • 아닐
  • 욕될

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는다.

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모욕을 당하지 않음.

유래

'지족불욕'은 고대 중국의 유명한 사상가가 ‘충족함을 알면 모욕을 당하지 않는다’고 말한 데서 유래한다. 이 사자성어는 그 사람의 욕망과 갈망을 제어하고 만족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. 한 사람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과욕을 부리지 않고 현재의 상황에 만족하는 것이라고 전해진다.

  • 깨트릴
  • 거울
  • 重 (두번)

거울을 깨뜨리고 다시 동그랗게 하다.

일단 망가진 것을 다시 되돌리려는 고된 과정을 의미함.

유래

>고대 중국의 전설에서, 한 왕이 자신이 깨버린 거울을 다시 원상 복구시키려 했다. 이 고사에서 유래한 ‘파경중원’은 일단 잃거나 망가진 것을 복구하려는 어려운 상황을 묘사하는 사자성어로 사용된다. 그만큼 일단 망가지면 회복하는 것이 어렵고, 그 복구 과정을 통해 깊은 성찰과 끈기를 요구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.